ABOUT ME

-

Today
-
Yesterday
-
Total
-
  • 백두대간과 9정맥
    산행정보 및 기타정보/산행을 위한 정보 2009. 8. 25. 21:13

     

     

     

     

     

     

     

     1대간 9정맥의 도상거리 [신산경표에서 발췌 ]


    ※1대간 9정맥 총거리: 683.4km + 2087.7km =  2771.1km 

        

     


    1]백두대간(白頭大幹)

     


    ◆남한의 경우 6개도와 32개 시, 군에 걸쳐있다.

     

     

    태백산맥, 소백산맥 등 지금짜기 우리가 배워온 '산맥'은

     

    1903년 일본의 지질학자 고토 분지로가 발표한 '조선의 산악론'에 기초를 두고

     

    일본인 지리학자 야스쇼에이가 재집필한 '한국지리'라는 교과서에서 기인된 것으로,

     

     그 전까지는 '산맥'이란 개념이 없었다.

     

     

    우리 선조들의 국토 이해 방식은 산맥이 아니라 대간(大幹), 정간 (正幹),정맥이었다.

     

    이는 '산자분수령 (山自分水嶺)'의 원리에 입각한 것으로,

     

    '산자분수령'이란 '산줄기는 물을 건너지 않고, 산이 곧 물을 나눈다.'는 의미다.

     

     

    모든 산줄기가 백두산과 통한다는 개념은 일찍이 전통적 지리인식의 바탕에 자리 잡아 김정호의 대동여지도」

    이중환의 택리지」등이 모두 이 개념을 바탕으로 만들어 졌고,

     


    조선 후기 여암 신경준이 작성한 것으로 추정되는 산경표(山經表)」를 통해 개념을 완성 시켰다.

     

    그러나 백두대간의 개념은 일제침략시대를 거치면서 왜곡되고, 잊혀져 왔는데 1980년 겨울 고지도연구가

    이우형씨가 인사동 고서점에서 우연히 조선조영조때 실학자였던 여암신경준(1712~1781)이 쓴

     

    「산경표(山經表)」를 발견하면서 다시 빛을 보기 시작했다.


    산경표(山經表)」에서는 우리나라의 큰 산줄기를 1대간 1정간 13정맥으로 구분하여 정리하고 있는데,

    이중에서 근간이자 기둥이 되는 가장 커다란 산줄기가 바로 백두대간이다.

     

    (최근 규정각에서 진본이 발견되 1대간 2정간 (장백정간,낙남정간) 12정맥이 정설로 받아들여지고있다.)

     

    신경준은 백두대간을 △백두산에서 지리산까지 길게 이어진 대간 산맥

     

    △ 하나의 단절이 없는 대분수령 △한반도 남북을 달리는 대산맥 축으로 정리 했다.

     


    또, 88년 대학산악연맹소속 대학생 49명은 60일동안 백두대간을 종주하기에 이르렀고, 이를 연맹연회보에 소개

    하면서 전국산악인들 사이에서 백두대간 종주 붐이 일게 됐다.

     

     

    1)북한구간 : 963.4km(백두산 ~ 향로봉)

     

    2)남한구간 : 695.2km(향로봉 ~ 지리산 천황봉)

     

    ※진부령~지리산 천황봉:683.4km

     

     

     


     

     

    2]낙동정맥 : 419.0km

     


    ◆낙동강의 동쪽을 따르는 산줄기로 동해안 지방의 담장이다.

    매봉에서 시작 하여 울진 백병산(1,259m),통고산(1,067),백암산(1,004m),청송 주왕산(720m),경주단석산(829m),

    울산 가지산(1,240m),신불산(1,209m),부산금정산(802m)을 지나 백양산(642m) 을 넘어 부산 다대포

    몰운대에서 끝난다.

     


     

    ◎도상거리 419km    GPS거리:518.3km

     


          


     

    3]금남호남정맥:70.7km

     


    ◆금강과 섬진강의 분수령이다.

    장수 영취산에서(1,076m)에서 시작하여 장안산(1,237m),수분현(530m),팔공산(1,151m),임실 성수산(1,059m)

    진안 마이산(667m),진안 부귀산(806m)에서 끝난다.

     


     ◎도상거리 70.7km   GPS거리:74.7km

     


            


    4]호남정맥:454.5km

     


    ◆낙남정맥과 함께 우리나라 남부해안문화권을 구획하는 의미있는 경계선이다.

     


    정맥의 동쪽은 섬진강 서쪽은 만경강,동진강,영산강,탐진강,이다. 금남호남정맥에서

     

    갈라진후 강진 만덕산(762m)을 처음 만나고 이후 내장산(763m),추월산(729m),무등산(1,187m),제암산(779m),조계산(884m) 등 남도의 큰산을 지나 광양 백운산(1,218m)이 끝이다.

     

             백운산에서 아쉬운 산자락의 여운은 백운산 남쪽을 달려 섬진강을 휘감으며 망덕산(197m)에서 비로서 끝난다.

     


    ◎도상거리 454.5km      GPS거리 :514.6km

     


            


    5]금남정맥(錦南正脈) : 131.4km

     


    금강의 남쪽 울타리.금남호남정맥의 끝인 주화산(珠華山560m)에서 북으로 금강과 나란히

     

    올라가며 계룡산에 이르고 다시 서쪽으로 틀어 부여의 부소산 아래 백마강 조룡대에서 마감한다.

     


    금강의 남쪽과 서쪽으로 만항강,동진강의 분수령이 되어 자연히 군산을 중심으로 한

     

    평야지방과 내륙지방을 양분하고 있다.금남정맥을 이루는 주요 산은 주화산을 시작으로

     

    연석산(925m),운장산(1,125.9m),인대산(666m),대둔산(877.7m),월성봉(650m).바랑산(555m)

     

    천마산(287m),계룡산(287m),부소산(106m) 등이다.

     


    ◎도상거리131.4km       GPS거리:145.6km

     


           


    6]한북정맥:235.5km중 남한구간160.4km만 가능함.

     


    ◆북쪽으로 임진강, 남쪽으로 한강의 분수령이 된다.

    백봉에서 시작한 한북정맥은 백암산 (1,110m),법수령을 지나 휴전선 가까운 오성산(1,062m),철책넘어

    대성산으로 이여진다.

     

    포천 백운산(904m),운악산(936m),서울 도봉,북한산(837m),고봉산(208m)을 지나 임진강과 한강의 합류

    지점인 교하의 장명산에서(102m)끝난다.

     


    ◎도상거리 160.4km        GPS거리:184.6km

     


           


    7]한남정맥:178.5km

     


    ◆한강유역과 경기 서해안 지역을 분개한다.

     

    한남금북정맥의 칠현산 북쪽 2km지점에서 위치한 칠장산에서(492m)에서 시작된다.

    백운산,보개산,수원 광교산(582m),안양수리산(395m),을 넘으며 김포평야의 낮은 등성이와 들판을 누비다

    계양산(395m),가현산(215m)을 지나 강화도 앞 문수산성에서 끝 맺는다

     


    도상거리 178.5km       GPS 거리:203.1km 

     


        


    8]한남금북정맥:158.1km


    ◆한강과 금강을 나누는 분수령이다.

     

    속리산 천황봉(1,508m)에서 시작 하여 말티고개,선도산(547m),상당산성,좌구산(657m),보현산(481m),을

    지나 칠현산(516m)에서 한남정맥과 금북정맥으로 갈라지면서 한남정맥은 끝이 난다.

     


    ◎도상거리 158.1km       GPS  거리:177.4km

     

     



    9]금북정맥:282.4km


    ◆금강의 북쪽 울타리이다.

     

    한남정맥과 헤어진 후 칠현산(516m),안성 서운산,천안 흑성산,(519m),아산광덕산(699m),청양일월산(560m),

    예산수덕산(495m)을 지난다.

    산줄기는 예산 가야산에서(678m)멈칫거리다 성왕산(252m),백화산(284m)을 거쳐 태안반도로 들어 반도의 끝

    안홍진에서 끝을 맺는다.


    ◎도상거리 282.4km       GPS  거리:312.2km

     

     

    10]낙남정맥:232.7km

     

        ◆북쪽으로 줄곧 낙동강을 받드는 낙남정맥은 남부해안 지방의 분계선으로 생활문화와 식생,특이한

     기후구를 형성시키는 중요한 산줄기다.

     

    지리산 영신봉에서 시작하여 남하하다 옥산(614m)에서 동쪽으로 방향을 틀어 대곡산(543m),여항산(744m),

    무학산 (763m),구룡산(434m),대암산(655m)을 거쳐 낙동강 하구를 지키는 분산에서 끝난다.

     

    ◎도상거리 :232.7km        GPS  거리:242km

                    

Designed by Tistory.